본문 바로가기
정부정보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 확대!

by 간초맨 2025. 2. 15.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 확대! 맞벌이·다자녀가정 혜택 강화

서울시가 2024년부터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이용 방식을 더욱 편리하게 개선했습니다. 올해부터는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까지 신청 가능하며, 기존 10회 차감 방식에서 총 70만 원 한도 내 맞춤형 서비스 선택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이 사업은 맞벌이·임산부·다자녀 가정을 지원하며, 2024년에는 총 11,000가구를 대상으로 7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 ‘서울형 가사서비스’란?

서울시는 육아와 가사노동에 지친 가정을 돕기 위해 2022년부터 ‘서울형 가사서비스’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원대상: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지원내용: 연 70만 원 상당의 가사서비스 바우처 지급
신청기간: 2024년 1월 20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이용기간: 선정된 날부터 2024년 11월 말까지


🔹 지원 대상 확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까지

기존에는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만 지원 대상이었으나, 올해부터는 180% 이하 가구까지 확대되어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구원 수기존(150%)변경(180%)

2인 가구 5,899,000원 7,079,000원
3인 가구 7,538,000원 9,046,000원
4인 가구 9,141,000원 10,976,000원
5인 가구 10,665,000원 12,795,000원
6인 가구 12,110,000원 14,517,000원

🔹 2024년, 서비스 이용 방식 대폭 개선!

✅ 기존: 10회 차감 방식 → 변경: 70만 원 한도 내 맞춤형 이용

✔️ 총 70만 원 한도 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 가능
✔️ 이용 업체 제한 해제 → 서울 전역 32개 인증 업체 자유 이용 가능
✔️ 가사서비스 종류 다양화 (청소, 정리수납, 세탁 등 선택 가능)

👉 이전에는 지역별 지정 업체만 이용 가능했으나, 이제 서울 전역 어디서든 원하는 업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서울형 가사서비스, 어떻게 신청하나요?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서울맘케어 누리집
✔️ 신청 후 절차:
1️⃣ 신청 접수 → 2️⃣ 자격 확인 → 3️⃣ 우선순위 심사 → 4️⃣ 이용자 선정 → 5️⃣ 개별 통보

📢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 가능하므로 빠르게 신청하세요!

📌 이용 가능한 서비스 종류

✅ 거실·주방·화장실·안방 등 청소
✅ 설거지, 세탁, 쓰레기 배출
✅ 정리수납, 기타 업체별 특화 서비스

💡 서비스 이용 기간: 선정된 날부터 2024년 11월 말까지
💡 기간 내 미사용 바우처는 이월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사용해야 함!


🔹 서울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노력

서울시는 올해 고용노동부 인증을 받은 32개 가사서비스 업체를 선정했으며, 업체별로 직무교육 및 CS교육을 실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여성가족실장 김선순은

"양육자들이 조금이나마 여유를 갖고 아이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서울형 가사서비스를 개선했다. 시민들의 호응이 높은 만큼 예산 소진 전까지 신청을 서두르길 바란다."
라고 전했습니다.


🔹 결론: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금 신청하세요!

지원 대상 확대 (중위소득 180% 이하)
서비스 이용 방식 개선 (70만 원 한도 내 맞춤 선택)
서울 전역 32개 업체 자유 이용 가능
신청 기간: 예산 소진 시까지 선착순 접수

📌 신청 바로가기: 서울맘케어 누리집

서울시는 앞으로도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개선해 나갈 예정입니다.
가사 부담을 덜고, 가족과의 시간을 더 많이 갖고 싶은 가정이라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