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 확대! 맞벌이·다자녀가정 혜택 강화
서울시가 2024년부터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이용 방식을 더욱 편리하게 개선했습니다. 올해부터는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까지 신청 가능하며, 기존 10회 차감 방식에서 총 70만 원 한도 내 맞춤형 서비스 선택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이 사업은 맞벌이·임산부·다자녀 가정을 지원하며, 2024년에는 총 11,000가구를 대상으로 7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 ‘서울형 가사서비스’란?
서울시는 육아와 가사노동에 지친 가정을 돕기 위해 2022년부터 ‘서울형 가사서비스’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지원대상: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 지원내용: 연 70만 원 상당의 가사서비스 바우처 지급
✅ 신청기간: 2024년 1월 20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 이용기간: 선정된 날부터 2024년 11월 말까지
🔹 지원 대상 확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까지
기존에는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만 지원 대상이었으나, 올해부터는 180% 이하 가구까지 확대되어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구원 수기존(150%)변경(180%)
2인 가구 | 5,899,000원 | 7,079,000원 |
3인 가구 | 7,538,000원 | 9,046,000원 |
4인 가구 | 9,141,000원 | 10,976,000원 |
5인 가구 | 10,665,000원 | 12,795,000원 |
6인 가구 | 12,110,000원 | 14,517,000원 |
🔹 2024년, 서비스 이용 방식 대폭 개선!
✅ 기존: 10회 차감 방식 → 변경: 70만 원 한도 내 맞춤형 이용
✔️ 총 70만 원 한도 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 가능
✔️ 이용 업체 제한 해제 → 서울 전역 32개 인증 업체 자유 이용 가능
✔️ 가사서비스 종류 다양화 (청소, 정리수납, 세탁 등 선택 가능)
👉 이전에는 지역별 지정 업체만 이용 가능했으나, 이제 서울 전역 어디서든 원하는 업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서울형 가사서비스, 어떻게 신청하나요?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서울맘케어 누리집
✔️ 신청 후 절차:
1️⃣ 신청 접수 → 2️⃣ 자격 확인 → 3️⃣ 우선순위 심사 → 4️⃣ 이용자 선정 → 5️⃣ 개별 통보
📢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 가능하므로 빠르게 신청하세요!
📌 이용 가능한 서비스 종류
✅ 거실·주방·화장실·안방 등 청소
✅ 설거지, 세탁, 쓰레기 배출
✅ 정리수납, 기타 업체별 특화 서비스
💡 서비스 이용 기간: 선정된 날부터 2024년 11월 말까지
💡 기간 내 미사용 바우처는 이월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사용해야 함!
🔹 서울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노력
서울시는 올해 고용노동부 인증을 받은 32개 가사서비스 업체를 선정했으며, 업체별로 직무교육 및 CS교육을 실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여성가족실장 김선순은
"양육자들이 조금이나마 여유를 갖고 아이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서울형 가사서비스를 개선했다. 시민들의 호응이 높은 만큼 예산 소진 전까지 신청을 서두르길 바란다."
라고 전했습니다.
🔹 결론: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금 신청하세요!
✅ 지원 대상 확대 (중위소득 180% 이하)
✅ 서비스 이용 방식 개선 (70만 원 한도 내 맞춤 선택)
✅ 서울 전역 32개 업체 자유 이용 가능
✅ 신청 기간: 예산 소진 시까지 선착순 접수
📌 신청 바로가기: 서울맘케어 누리집
서울시는 앞으로도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개선해 나갈 예정입니다.
가사 부담을 덜고, 가족과의 시간을 더 많이 갖고 싶은 가정이라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
'정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체국 대한민국 엄마보험 무료가입! (0) | 2025.02.16 |
---|---|
서울시 4050 중장년 취업박람회 개최! 신청방법은? (1) | 2025.02.16 |
서울시, 자영업자 가스요금 카드결제 확대 (0) | 2025.02.15 |
2025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총정리! 신청방법, 자격요건, 혜택 알아보기 (0) | 2025.02.15 |
청년·서민을 위한 새로운 주거 희망, 뉴:홈! (1)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