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 특별판

7편: 부동산매매 관련, 중개업계가 욕먹는 진짜 이유 QnA

by 간초맨 2025. 4. 28.
부동산 시장, 왜 중개업계는 욕을 먹게 되었을까? (강남과 강남인근 기준)
성실한 중개인도 있지만, 구조적으로 양아치짓이 살아남는 현실을 QnA 형식으로 생생하게 풀어봅니다.

 

 

앞선 포스팅을 확인하면 본 포스팅을 이해하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아래에 기존의 포스팅들은 클릭하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편:  부동산, 투자실패? 대체 왜? QnA

 

2편:  '눈먼돈'은 왜 실패할 수밖에 없었나? QnA

 

3편: 실패를 성공으로 바꾼 사례는? QnA

 

4편: 근린생활시설 투자 실패의 함정 QnA

 

5편: 수익률에 현혹된 눈먼돈을 노린 교묘한 투자 사기 QnA

 

6편: 중개법인을 통해 매수하면 왜 비싸게 사게 될까? QnA


 

Q: 강남 부동산 시장, 왜 중개업계는 그렇게 욕을 먹게 된 걸까요?

A:
단순히 개인의 도덕성 문제는 아닙니다.
구조 자체가 그렇게 사람을 몰아가고 있어요.

물론, 중개법인 안에도

  • 바닥부터 차근차근 배우려는 성실한 중개인들이 있습니다.
  • 초반에는 정석대로 고객을 대하고, 깨끗하게 일하려고 노력하죠.

하지만 현실은,
'빠른 성공'을 위해 꼼수와 편법을 쓰는 사람들이 훨씬 빨리, 더 크게 성공합니다.

결국 업계에서 오래 살아남아 큰돈을 번 중개인들의 다수는

  • 허위 과장
  • 시세 뻥튀기
  • 소비자 현혹
    등을 서슴지 않았던 경우가 많습니다.

Q: 왜 그렇게 구조가 굴러가는 거죠? 착하게 하면 안 되나요?

A:
착하게 하면 당장은 수익이 안 나기 때문입니다.

중개법인은 동네 부동산보다

  • 광고비, 홍보비 지출이 훨씬 큽니다.
  • 유튜브 영상 제작, 편집, SNS 마케팅까지 해야 합니다.
  • 대형 법인일수록 조직 운영비, 사무실 유지비도 부담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수익을 만들어야 하니까
어떻게든 매물을 확보하고, 어떻게든 계약을 성사시키고, 어떻게든 높은 가격을 만들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 더 자극적인 광고,
  • 더 과장된 성공 사례,
  • 경계선 위를 아슬아슬 넘나드는 홍보

이런 것들이 '당연한 경쟁 수단'이 되어버립니다.


Q: 초보 중개인들은 어떤 상황에 처하나요?

A:
초보 중개인은 훨씬 열악합니다.

  • 어렵게 계약을 따내도, 수수료의 대부분을 회사, 팀장 등이 가져갑니다.
  • 실제로 손에 쥐는 돈은 극히 일부입니다.
  • 몇 달 동안 매물만 확보하다가 한 건 계약도 못 따고 퇴사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러다 보니

  • 거짓말을 해서라도 매물을 확보하려 하고,
  • 고객을 현혹해서라도 계약을 성사시키려 하고,
  • 업계 에티켓 같은 건 무시하고 '생존'을 우선하게 됩니다.

결국 초반에 일을 잘못 배우게 되고,
그런 사람들이 살아남으면 '더 교묘하게' 업계 악습을 반복하게 되는 거죠.


Q: 요즘엔 SNS에서도 그런 현상이 보인다면서요?

A:
맞아요. 요즘은 SNS를 통해서도 이런 패턴이 뚜렷합니다.

  • 자기 법인 안에서 계약한 것들은 성공한 사례로 극찬하며 올리고,
  • 경쟁 법인이나 다른 중개사들의 사례는 깎아내리면서 분석하는 척 합니다.

이런 식으로
스스로를 전문가로 포장하고,
소비자에게 신뢰를 심어 매물 유입과 계약을 끌어내려는 전략이 많아졌습니다.

과거에 보험업계 자산관리사들이 그렇게 활동했듯,
지금 부동산 중개업계도 똑같은 패턴을 답습하고 있는 거죠.


Q: 결국, 중개업계가 욕을 먹는 진짜 이유는 뭔가요?

A: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겁니다.

 구조가 잘못돼 있다.
 살아남기 위해 편법을 써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정석보다 꼼수가 더 빠른 성공을 가져온다.
 그래서 업계 전체 신뢰가 무너진다.

 

그리고 이 안에서도
성실하게, 바르게 일하려는 사람들도 피해를 본다는 게 가장 씁쓸한 현실입니다.


Q: 그럼 부동산 투자자나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A:
완벽하게 피해갈 수는 없지만, 최소한 이렇게 할 수 있습니다.

  • 어떤 정보를 듣더라도 "왜 이 사람이 이런 말을 할까?"를 먼저 생각하기
  • 성공 사례만 보여주는 중개인은 특히 경계하기
  • 주변 시세, 매물 정보, 실거래가를 직접 여러 채널로 검증하기
  • 계약 진행 전, '매물의 단점'까지 집요하게 질문하고 체크하기

즉, 남이 포장해준 그림을 믿지 말고, 내 눈으로 끝까지 검증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정리:

  • 강남 부동산 중개법인은 구조적 한계 때문에 양아치짓이 생존 수단이 되었다.
  • 초보 중개인들도 구조에 빨려들어가면서 악순환이 이어진다.
  • 성실한 중개인들도 피해를 보고 있다.
  • 투자자는 냉정하고 집요하게 스스로 검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매매에 관련된 부동산 투자의 함정들을 살펴봤습니다.

다음 주제는 약간은 흥미 위주의 포스팅으로 '강남에서 월세사는 그분들'에 대해서

논현동의 지역색과 엮어서 발행해보겠습니다.

 

 

부동산 투자 특별편 모두보기

 

1편: 강남 부동산, 투자실패? 대체 왜? QnA


2편: 부동산, '눈먼돈'은 왜 실패할 수밖에 없었나? QnA

 

3편: 부동산, 실패를 성공으로 바꾼 사례는? QnA

 

4편: 부동산, 근린생활시설 투자 실패의 함정 QnA

 

5편: 수익률에 현혹된 눈먼돈을 노린 교묘한 투자 사기 QnA

 

6편: 중개법인을 통해 매수하면 왜 비싸게 사게 될까? QnA

 

7편: 부동산매매 관련, 중개업계가 욕먹는 진짜 이유 QnA